재건 사업 전개의 장애물 사라져
360조 시장공략 민관 협업 기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10일(현지시간)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를 찾아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부 장관과 ‘대한민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하며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제공]](https://wimg.mk.co.kr/news/cms/202505/15/news-p.v1.20250515.9b6c4ff023c242d193eb44025c8b3bd4_P1.jpg)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시리아에 대한 제재 해제 방침을 환영하고 나섰다. 한국은 지난달 시리아와 수교했는데, 미국의 대(對)시리아 금융제재 등이 해제되면 시리아 재건 사업 등에 적극 뛰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15일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부는 앞으로 국제사회의 대시리아 제재 해제에 맞춰 시리아 재건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 과정에서 우리 기업들의 시리아 재건 참여도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중동을 순방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미-사우디 투자 포럼’ 기조연설에서 “시리아에 발전할 기회를 주기 위해 시리아에 대한 모든 제재 중단을 명령하겠다”고 깜짝 발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에는 걸프협력회의(GCC) 지도자들과의 회의에 참석하기 전에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과 만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전날 지시한) 제재 해제는 시리아의 새로운 시작을 위한 일”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시리아와 전격 수교한 한국으로서는 상황이 긍정적이다. 외교부 안팎에서는 한국이 비록 시리아와 수교했지만, 미국의 시리아에 대한 제재가 그대로라면 광범위한 교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었다. 특히 금융제재 때문에 시리아에 자금 투입 자체가 실현되기 어려웠다.
외교부에 따르면 시리아의 재건 수요 규모는 2500억달러(약 357조원)로 추산된다. 분야는 도로, 항만, 에너지, 교육, 보건 등 주로 인프라 스트럭쳐 부문이다.
시리아가 한국에 먼저 수교 의사를 적극 표명한 만큼 재건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의 기회도 풍부할 전망이다. 시리아는 우리 정부에 한국의 전후 재건 모델을 벤치마킹하고자 한다는 의지를 여러 차례 표명하기도 했다. 경제 부문에서 양국 간 실무 협력이 조만간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
시리아는 다른 여타 분쟁 국가와 비교해도 재건 성공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외교가에 따르면 2000만명 이상의 인구, 높은 국민 의식 수준과 교육 수준 때문에 시리아는 재건 관련 투자 매력도가 큰 편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