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사용자들의 숏폼 소비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과 같은 숏폼 플랫폼엔 콘텐츠가 넘쳐난다. 자극적인 콘텐츠들이 숏폼 플랫폼에 계속해서 수혈되고, 사람들은 이 같은 콘텐츠에 중독돼 더 많은 시간을 숏폼에 소비하는 생태계가 만들어진 것이다.
숏폼의 무서운 점은 가공할 만한 '중독성'이다. 사용자 의지와 상관없이 SNS 알고리즘에 따라 자극적인 영상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푹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나도 모르게 자기통제를 잃게 되는 경우도 있다. 지하철에서, 화장실에서 숏폼을 보던 습관이 식사 자리에서, 학교 혹은 일터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숏폼을 두고 '디지털 마약'이라고 칭한다. 한번 숏폼에 익숙해진 생활습관을 개선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 "영상 몇 개만 보고 자야지" 하고 앱을 열었다가 밤을 꼴딱 새우는 경우,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숏폼 영상부터 시청하는 것을 두고는 "내 얘기인데"라고 뜨끔하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숏폼 중독은 '팝콘 브레인'(뇌가 현실에 둔감해지고 강렬한 자극에만 반응하는 현상) 등과 같은 부작용으로 뇌를 도파민에 절여지게 만들 수 있다. 이는 일상에서의 무기력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초등학생이 가장 많이 보는 매체는 숏폼 콘텐츠다. 여성가족부가 지난달 발표한 '2024년 청소년 매체 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청소년 100명 중 94명이 온라인상 '숏폼 콘텐츠'에 노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과거보다 음주나 흡연 경험에서 멀어지며 알코올(음주)과 니코틴(흡연) 중독은 줄었지만 '숏폼'이라는 새로운 '중독'에 빠져들고 있는 경향이 새롭게 눈에 띈다.
스마트폰 세계를 배회하며 끊임없는 사회적 비교와 주의 분산, 자극에 시달린 아이들 뇌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세계적인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는 저서 '불안세대'에서 "아동과 청소년은 학습과 성장을 위해 유연해진 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시기의 경험과 활동은 뇌 구조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면서 "소셜미디어와 알고리즘이 아이들의 정신건강을 무너뜨리고 사회생활을 황폐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다수의 연구진은 숏폼에 길들여진 아이들은 '텍스트'에 거부감을 갖게 되고 문해력이 낮아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사춘기 이전 뇌 발달을 마치지 않았을 때부터 숏폼 콘텐츠를 보면 더 쉽게 중독되고 집중력 저하, 문해력 약화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글로 된 콘텐츠를 기피하는 것을 넘어 '긴 영상' 자체를 선호하지 않게 되는 것도 문제다. 글로리아 마크 미국 캘리포니아대 석좌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숏폼이 등장하기 이전인 2004년 이용자들이 한 화면에 집중하는 평균 시간은 약 2분30초였는데, 스마트폰 보급 초창기인 2012년에는 집중 시간이 75초까지 낮아졌고, 숏폼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2020년 무렵에는 47초까지 떨어졌다. 2025년 현재는 이보다 훨씬 낮아졌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숏폼에 일찍부터 장시간 노출된 아이들의 경우 감정을 담당하는 측두엽과 계획성을 담당하는 전두엽 자체가 발달이 더뎌질 수 있다. 감정이 조절되지 않거나 계획을 수립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불안정한 상태가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경고다.
'중독성' 문제도 성인보다 청소년기에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매년 스마트폰 사용을 스스로 조절하기 어려운 '과의존 위험' 비율을 조사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청소년(만 10~19세) 10명 중 4명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심지어 유아동(만 3~9세)도 4명 중 1명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바른ICT연구소 연구에 따르면 숏폼 콘텐츠는 강한 중독성으로 인해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건우 바른ICT연구소 교수는 논문에서 "숏폼 콘텐츠의 활성화가 스마트폰 과의존을 촉진한다면, 기업들은 더 많은 행동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이는 다시 스마트폰 사용 시간 증가를 부추겨 악순환이 형성될 수 있다"며 "과의존 문제를 단순히 개인의 자제력 부족이나 기술 중독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경제적·사회적 구조의 결과로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비판이 거세지자 숏폼 플랫폼들은 자진해서 청소년 보호 등 자율규제에 나서고 있다. 다만 청소년 계정을 우회하는 것은 손쉽기 때문에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인플루언서'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에서 활동하며 트렌드의 최전선에 서 있는 인플루언서들을 발굴·소개하고 크리에이터 생태계 변화를 조명하는 코너다. 2021년 2월부터 이사배, 이연, 잠뜰, 온오빠, 허니제이, 이과장, 생각노트 등 주요 인플루언서 60여 명을 인터뷰했다. 크리에이터의 전문성, 성장 잠재력, 선한 영향력 등을 다각도로 평가·선별해 미래의 별들을 매경 독자들에게 우선 소개할 방침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