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여보, 고정으로 하면 더 많이 준대”...내집 마련 위한 주담대 전략은

  • 이용안,김정환
  • 기사입력:2025.05.20 21:31:10
  • 최종수정:2025-05-21 09:16:25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서울 송파구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 뉴스1]
서울 송파구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 뉴스1]

올 하반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방침이 공개되면서 주택담보대출 등을 통해 내집 마련에 나서려는 사람들의 셈법이 복잡해졌다.

금융당국이 금융권 월별 대출 관리 한도를 죄고 있지만, 규제 시행 전 대출 가능 여부를 타진하는 게 먼저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당장 부동산을 매매할 계획이 있다면 규제가 강화되기 이전에 대출을 받는 게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차주 사정상 7월 이후 대출을 받아야 한다면 상품 유형을 혼합형이나 주기형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변동형보다는 혼합형과 주기형을 택했을 때 대출 한도가 덜 깎인다”며 “만기를 최대한 길게 설정하는 것도 한도를 높이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직접 은행을 찾아 대출이 얼마나 나오는지는 반드시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는 조언도 나왔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계약 전 은행을 찾아 대출 얼마나 나오는지 이른바 ‘대출력’을 점검하는 것은 필수”라고 말했다. 다만 박 위원은 “지렛대가 너무 길면 부러진다”며 “원리금 상환액을 월급의 30% 이내로 받는 게 적당하며 이 부분이 넘어가면 재고하는게 좋다”고 분석했다.

금리 인하기란 점을 고려하면 변동형 상품도 검토해볼 만하다는 평가도 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자본금이 여유로운 차주라면 굳이 서둘러 대출을 받을 필요가 없다”며 “향후 금리가 더 내려갈 것을 고려해 변동형 상품을 받는 게 이자 비용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