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빌리어드뉴스 MK빌리어드뉴스 로고

젠슨 황 또 작심발언 …"對中반도체 수출통제한 美정책 실패"

대만 미디어 행사서 美정부 수출규제 정면 비판
"미국 기업들이 中시장 잃으면
美정부 세수에도 부정적 영향"

  • 박승주
  • 기사입력:2025.05.21 17:38:12
  • 최종수정:2025.05.21 17:38:12
  • 프린트
  • 이메일
  • 페이스북
  • 트위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 행사에서 질문에 답하는 모습. 박승주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1일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 행사에서 질문에 답하는 모습. 박승주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정부의 중국 수출 통제 조치를 작심 비판했다. 황 CEO는 21일 대만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 행사에서 '미국의 수출 규제에 따른 영향과 정책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우리는 수출 규제로 H20 제품을 중국에 출하할 수 없게 됐고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재고를 전액 손실 처리해야 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엔비디아는 중국에서 회사 전체 매출 중 14%에 해당하는 170억달러(약 23조5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H20은 그동안 엔비디아가 중국에서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유일한 저사양 인공지능(AI) 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최근 H20 수출도 제한한 상태다.

황 CEO는 "중국 시장을 잃는 것은 단순한 매출 손실을 넘어 미국 세수와 산업 생태계 유지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했다. 황 CEO는 "4년 전 조 바이든 행정부가 시작될 무렵 중국 AI 칩 시장의 95%를 점유하고 있었지만, 지금은 50%로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가 중국에서 경쟁할 기회를 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지금의 정책 방향은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며 "현장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 즉 '현장의 진실'이 정책 결정자들에게 영향을 줘 우리가 다시 중국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정책이 바뀌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또 "미국 정부는 미국 기술이 중국 시장에서 서비스되고 참여·경쟁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며 "중국 AI 연구자들이 아키텍처 위에서 개발할 때 적어도 미국 기술 위에서 개발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황 CEO는 중국 시장의 중요성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전 세계 AI 연구자의 절반이 몰려 있는 나라이고 두 번째로 큰 컴퓨팅 시장"이라면서 "내년 AI 시장 규모는 500억달러(약 69조3000억원)로 예상되는데, 이는 엔비디아 입장에서도 엄청난 기회이며 놓치기 아깝다"고 했다.

[타이베이 박승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