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전기승용차가 한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기대와 함께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산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남아 있는 데다 국민 세금으로 중국차에 보조금을 지급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나온다. 과거 한국산 자동차들이 중국 시장에서 철저하게 보조금 역차별을 받으면서 불이익을 당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고객 데이터 보안'에 대한 의구심이 크다.
16일 BYD코리아의 론칭 행사에서는 배터리 안전 관련 질문이 이어졌다. BYD의 전기차는 자체 개발한 '블레이드 배터리'를 사용한다. 배터리셀을 칼날처럼 얇고 길게 제작해 모듈 없이 바로 장착한다. BYD코리아 관계자는 "자체 실험 결과 못으로 관통해도 연기나 불꽃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타사 배터리들에 비해 성능이 뛰어나고 더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내 배터리 전문가들의 의견은 이와 정반대다. 한 전문가는 "BYD의 설명과 반대로 블레이드 배터리는 낮은 에너지밀도를 높이기 위해 배터리 안정성을 낮춘 제품"이라며 "방열 등 안전 관련 부품도 덜 사용해 안전이 최우선이 돼야 할 자동차 배터리로 사용하기엔 치명적인 약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BYD가 공개한 자체 실험 역시 완벽하게 통제된 환경에서 블레이드 배터리에 유리한 방식으로 이뤄졌다는 지적이다.
보조금 역차별 문제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그동안 중국 정부는 자국 내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던 현대차와 기아를 배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조금을 적극 활용했다. 2012년 한국·일본 자동차 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하이브리드차량(HEV)을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고 유럽과 미국 업체들이 강점이 있던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와 순수전기차(BEV)만 지원하기 시작한 게 시초다. 2019년에는 보조금 지급 대상인 전기차 가격대를 조절해 저렴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중국산 전기차만 보조금을 받도록 조정했다. 사드 보복의 일환으로 자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버스에만 보조금을 지급해 한국 배터리 3사를 완전히 배제한 사례도 있다.
반면 한국 정부는 중국산 전기차에 보조금을 차등 없이 지급하고 있다. 이를 발판으로 중국산 전기버스가 한국 버스 시장을 장악한 지 오래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중국 정부의 무역 보복 때문에 중국산 전기차를 차별하기는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차량 판매 대수만큼 충전기 설치를 의무화하거나 일자리 창출을 일정 기준 이상 한 업체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식으로 다양한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장 큰 문제는 차량을 통한 '정보 유출' 우려다. 현지 출시 중인 모든 전기차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연결한 '커넥티드카'다. 자동차가 수집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돼 보관된다는 뜻이다. 이에 대해 BYD코리아 관계자는 "정보 보안에 많이 신경 쓰고 있다"며 "모든 관련된 내용은 국내 서버를 통해서 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데이터가 국내 서버를 거쳐 중국 서버로 이동하거나, 중국 본사가 서버의 개인 데이터를 활용하려 할 경우 이를 알거나 막을 방법은 없다.
더구나 커넥티드카가 수집하는 정보의 범위는 무궁무진하다. 예를 들어 차량 소유주의 모든 동선과 취향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운전자의 감정 변화를 실시간 파악하는 기술도 개발됐다.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저장된 영상이 서버로 전송되면 군사 정보가 유출될 수 있고, 길거리를 오가는 행인들의 얼굴이 딥페이크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차량과 연동해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의 각종 개인정보가 해킹당할 위험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유사시 해당 전기차를 외부 해킹을 통해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중국산 전기차 확산이 국가안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셈이다.
최근 미국 정부가 중국의 커넥티드카 기술이나 부품을 활용한 차량의 미국 내 판매를 금지하겠다고 밝힌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실제로 중국으로의 정보 유출 우려는 점점 더 확산되고 있다. 작년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로보락·샤오미 등 중국산 점유율은 67%에 달한다. 이들 제품 역시 카메라를 장착하고 와이파이에 상시 연결돼 있어 언제든 사생활이 유출될 수 있는 취약 고리로 꼽힌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들을 통한 개인정보 보안 문제도 수면으로 떠올랐다.
[김동은 기자 / 박제완 기자 / 박홍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