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지방자치법 전면 개정으로 인구 기준과 행정·재정 특례가 대폭 확대되면서 경기도 내 '특례시' 4곳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얻게 됐다.
수원·용인·고양·화성 등 인구 100만명 이상의 대도시 4곳은 '특례시'라는 행정명칭을 부여받아 광역 수준의 권한과 재정 지원을 확보했고, 성남·부천·안산 등 50만 이상 대도시 9곳도 자치 수요와 지역 균형 발전을 고려해 핵심 특례사무를 위임받았다. 이들 도시는 도시계획, 교통, 복지 등 필수·선택 사무를 직접 수행하며 자율권을 넓혀가고 있다. 경기도는 이들 특례시의 균형 발전을 위해 △인프라 확충 △스마트시티 전환 △산업생태계 강화 △생활SOC 확충 △균형 교통망 구축 등의 과제를 설정했다.
우리나라 최대 기초지방정부인 수원시는 '수원 R&D사이언스파크' '탑동 이노베이션밸리' 등을 조성해 첨단과학연구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다. 또한 신분당선 연장, 인덕원~동탄선, GTX-C 노선 등 광역철도망 구축을 통해 경기 남부 교통 중심지로 자리매김 중이다.
용인시는 '용인 첨단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과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단'을 중심으로 철도 계획을 수립 중이며, 평택부발선 연장 및 서울 접근성 개선을 위한 광역철도 추진 등으로 교통 요충지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화성시는 반도체·모빌리티·바이오 등 첨단 전략산업을 바탕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며, 누구나 살고 싶고 투자하고 싶은 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고양시는 경기 북부권에서 유일한 특례시로서, 우수한 인프라와 행정지원을 바탕으로 세계적 아티스트들의 공연을 유치하며 국제 공연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이는 도시 브랜드를 제고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공연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도내 특례시들이 전방위 발전 전략을 가동하는 가운데,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돼왔던 경기 북부권도 본격적인 개발에 속도를 내며 기지개를 켜고 있다.
먼저 남양주, 파주 등에 산업단지가 새로 조성되며, 고양 일산과 양주 테크노밸리도 착공을 마쳤다. 의정부와 파주는 경제자유구역 후보지로 지정돼 기업 유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창업 생태계 조성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경기북부 전용 창업공간과 지역투자펀드를 통해 스타트업 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연천·가평 등지에서는 풍부한 자연자원을 활용한 관광 인프라 개발도 병행되고 있어 정주 여건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도 차원의 균형 투자로 남북 간 격차를 해소하고, 특례시의 혁신 역량을 경기북부 전역으로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