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5.02 14:55:20
내년 구축·운영 시작 2027년 시스템 최적화
지난해 말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의 하나로 조류 충돌이 꼽히는 가운데 인천공항이 조류탐지레이더를 도입하기로 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항공기 조류 충돌(Bird Strike) 사고 방지를 위한 ‘조류탐지레이더’도입을 본격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조류탐지레이더는 전파를 활용해 공항 인근과 항공기 이·착륙 경로상의 조류 접근을 실시간으로 탐지한다.
관제사와 조류 충돌 예방 인력이 조류 규모·고도·속도·이동 경로 등 다양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에 도입할 레이더 시스템은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조류 충돌 위험 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계절별 조류 현황, 이동 패턴 등에 대한 데이터 축적 기능도 있다. 향후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면 주변 서식지 관리, 퇴치 계획 수립에 적극 활용할 수도 있다.
특히 야간, 악천후, 원거리 등 육안 관측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조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조류 충돌 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고 공사는 밝혔다.
항공기 이·착륙 또는 운항 중 조류가 항공기의 엔진이나 동체에 충돌해 발생하는 조류 충동을은 항공기 안전운항을 위협하는 대표 유형으로 간주된다.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정부는 지난 2월 한국형 조류탐지레이더 모델 마련을 추진했고, 지난달 30일 인천공항 포함 7개 공항을 우선 설치 공항으로 확정했다.
공사는 정부가 제시한 레이더 모델 기준에 맞으면서 동시에 인천공항에 특화된 조류탐지레이더 도입을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올해 설계 용역을 마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장비 구축·운영에 나서 2027년에는 시스템 최적화 과정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이학재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그 어느 때보다 항공 안전에 대한 국민 관심과 우려가 크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고 있다”면서 “조류탐지레이더 도입을 통해 항공기 안전 운항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물론, 대한민국 관문 공항으로서 안전과 혁신을 위한 제도 도입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