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4.29 18:10:47
상·하수도 노후관로 정비 대형공사장 등 특별점검
최근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지반침하(싱크홀)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춘천시가 지하시설물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을 추진한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29일 언론 브리핑에서 “최근 서울과 부산 등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와 관련해 도심지 지하시설물과 지하굴착공사 현장에 대한 특별 안전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시민 불안을 해소하고 사전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다.
최근 5년간 춘천지역에선 총 13건의 소규모 싱크홀이 발생했다. 도로 굴착공사 중 흙막이·차수 부실, 노후 상·하수도관 균열 및 누수 등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춘천시가 관리하는 상수도관(총 1760㎞) 중 278㎞(15.8%), 하수도관(총 1318㎞) 중 535㎞(40.6%)가 30년 이상 된 노후관으로 관리 강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춘천시는 상·하수도 노후관로 정비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미 상수도는 2020년부터 32.5㎞를 정비 중이다. 하수도는 작년까지 1차 국비사업으로 19.2㎞를 정비 완료했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도심 노후관로를 집중 정비할 계획이다.
당장 5월부터 굴착 깊이 10m 이상 대형공사장 12곳, 도심 상수도 11개 구간, 하수도 지표투과 레이더(GPR) 탐사 20개 구간, 지하도상가와 지하차도 등 시민 이용시설에 대한 특별 안전점검도 본격적으로 실시한다.
생활 밀착형 감시체계도 가동한다. 안전보안관과 운수 파수꾼으로 위촉된 버스·택시 종사자를 통해 상시 예찰을 강화하고, 시 홈페이지·민원콜센터·봄내소식지를 통해 시민들이 쉽게 싱크홀을 신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나아가 인공지능(AI) 도로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실증연구가 내년 7월 완료되는 대로 시스템을 전면 적용하고, 중장기적으로 GPR 장비 도입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육동한 시장은 “지하시설물의 안전점검과 정비를 병행해 사고 없는 안전도시 춘천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