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1.03 13:26:38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명칭을 두고 누리꾼 사이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이번 참사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라고 일컫기로 했으나, 일부 누리꾼과 유튜버 등은 ‘무안공항 참사’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해서다.
3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와 한국공항공사 등은 참사 초기부터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를 애도하고 유가족께 깊은 위로를 드린다’는 문구가 적힌 배너를 누리집에 게시했다.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한 광주시와 전남도 등 지자체도 같은 명칭으로 참사를 명명하고 애도의 글을 누리집에 올렸다.
명칭이 이렇게 정해진 건 국제연합(UN)이 설립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관행과 관련이 있다.
이 기구는 통상 항공사와 항공편을 넣어 여객기 사고를 분류해왔다. 이에 따라 이번 사고 또한 원칙적으로는 ‘제주항공 2216편 사고’로 불러야 한다.
지난 2002년 김해공항 인근 돗대산에서 여객기가 추락해 탑승자 129명이 숨진 사고 또한 ‘중국국제항공(Air China) 129편 추락사고’라고 명명한 바 있다.
그러나 몇몇 누리꾼과 유튜버는 이번 참사를 ‘무안공항 참사’로 불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사고가 난 장소 자체가 무안공항이고, 참사 원인 또한 무안공항의 콘크리트 둔덕에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도 나뉜다. 보잉 737 기장 출신인 고승희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이번 사고 명칭의 정답을 말하라면 ‘제주항공 2216편 사고’가 맞다”라면서 “여기에 굳이 공항 이름을 넣어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고 원인이 복합적일 것으로 보이는데 딱 하나만 꼬집어서 잘못됐다고 하긴 어렵기 때문에 밝혀지기 전까지 명칭을 두고 다툴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김건한 민간조종사협회 법률위원장은 “기체가 활주로에 동체착륙 해서 ‘오버런’(착륙 시 활주로 종단을 넘어서 기체가 나가는 것) 했을 때까지는 ‘제주항공 2216편 사고’가 맞는데, 로컬라이저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한 것은 ‘무안공항 사고’로 부르는 게 어색하지 않다”며 “결과적으로 구조물 충돌 이후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하는 상황이 충분히 나올 수 있다”고 다른 견해를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