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7.28 10:15:00
올 상반기 군산 지역의 전세 거래량은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일부 단지에서는 전세 물건 자체가 자취를 감췄으며, 전세가율이 100%에 달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분양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했던 전세 시장이 점차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면서 가격이 상승하고 있고, 이에 따라 세입자들은 전세 계약 자체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세 공급 부족과 가격 인상 압력이 맞물려 실수요자의 주거 불안정성이 심화하고 있다”라고 분석한다.
전세 보증금 마련의 부담이 커지면서, 반전세나 월세로의 전환 사례도 늘고 있다. 실제로 군산시의 전월세 전환율은 6.1%로, 법정 전환율인 4.25%를 크게 웃돌고 있다. 이는 임대인의 수익 요구가 커지고 있는 상황임을 시사하며, 세입자 입장에서는 월세 부담이 가중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월세 중심의 시장 재편 흐름이 본격화되면서 기존 세입자들의 주거 이동 고민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결국 실거주 수요를 청약시장으로 이끄는 배경이 되고 있다. 전세와 월세를 오가는 임대차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질수록, 입주 시점이 명확하고 가격이 고정된 신규 분양 단지에 대한 수요는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이에 실수요자들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합리적인 분양가’를 갖춘 신규 공급 단지로 향하고 있다. 특히 입주가 임박했거나 시공 안정성이 높은 건설사 브랜드 단지들이 주거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 중이다. 포스코건설, DL이앤씨, 영무건설 등 주요 건설사들이 군산 내에서 잇따라 공급하는 신축 아파트들이 그 대표적인 예다.
영무건설이 선보이는 ‘군산 신역세권 예다음’은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실질적인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이 단지는, 공급 공백이 이어진 군산에서 희소한 신규 입주 가능 단지로 꼽힌다. 전세난으로 내 집 마련을 고민하는 수요자들이 눈여겨볼 만한 조건을 갖췄다는 분석이다.
분양 관계자는 “군산 신역세권 예다음은 군산 내에서 희귀한 신축 단지 중 하나로, 분양가 상한제 적용에 따른 가격 메리트까지 더해져 실거주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라며 “지속되는 임대시장 불안정성 속에서 안정적인 주거 대안으로서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