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7.24 14:00:00
6.27 대출규제 이후 한달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주춤 한강벨트 상승폭 줄줄이 축소 송파구만 일주일새 상승률 쑥
6.27 대출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4주 연속 꺾이고 있다. 일부 신축이나 재건축 단지에선 여전히 상승 거래가 나타나지만 전반적으로는 매수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2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셋째주(21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6% 오르며 25주 연속 상승했다. 하지만 상승폭은 4주 연속(0.43%→0.40%→0.29%→0.19%→0.16%) 눈에 띄게 꺾였다. 상승률이 6.27 대출규제 직전 대비 약 3분의 1 수준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22개 자치구의 집값 상승률은 전주 대비 축소됐다. 규제 직전 급등세를 보였던 강남구 상승률은 일주일 새 0.15%에서 0.14%로 줄었다. 이는 서울 평균보다도 낮은 상승률이다. 서초구(0.32%→0.28%), 용산구(0.26%→0.24%), 성동구(0.45%→0.37%), 마포구(0.24%→0.11%), 동작구(0.23%→0.21%) 등 ‘한강벨트’ 지역의 집값 상승률도 전주 대비 주춤하는 건 마찬가지였다.
다만 이번주 송파구 아파트값 상승률은 0.43%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전주(0.36%) 대비 상승폭을 키운 것도 눈길을 끈다. 한국부동산원은 “송파구는 잠실·송파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전용면적 82㎡(6층)는 지난 15일 45억 2500만원에 중개 거래되며 신고가를 찍었다. 해당 거래는 토지거래허가 절차를 밟느라 계약 신고가 늦어진 건으로 보인다. 실질적으론 규제 전에 약정을 맺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한달 전보다 3억원 높게 거래되며 호가도 함께 오른 상황이다.
이 외에도 강서구(0.09%→0.13%), 중랑구(0.03%→0.05%) 아파트값 상승률이 전주 대비 소폭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와 대단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 계약이 체결됐다”면서도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고 거래가 줄며 서울 전체적으론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서울 집값 상승률이 주춤하며 수도권(0.07%→0.06%)과 전국(0.02%→0.01%) 상승폭도 축소됐다. 지방 아파트값은 0.03% 떨어지며 전주(-0.02%)보다 하락폭을 키웠다. 전국 전세가격 상승률도 0.02%로 전주(0.01%)보다 소폭 꺾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