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을 부르짖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좌클릭하며 방향을 급선회했다. 텃밭인 노동계 표심을 달래고자 정년 연장과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을 다시 추진하기로 했다.
1일 이 후보는 노동절을 맞아 한국노총과 정책협약식을 맺었다. 3개월 만에 한국노총과 얼굴을 맞댄 것이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총괄선대위원장으로 합류했다. 이 후보는 17분간 원고에 없던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그는 "노동자를 만나면 반(反)기업이라고 하고, 기업인을 만나면 우클릭이나 쇼라고 얘기한다"며 "통합의 길로 나아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52시간 근무제 예외 조항이 빠진 반도체특별법에 대한 의견도 밝혔다. 이 후보는 "(52시간 예외는) 실익이 없는 제도"라며 "사용자들에게 총노동시간을 늘리지 않고, 노동 강도에 따른 추가 성과도 지급하도록 했더니 기존 제도보다 불리해져서 필요가 없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한국노총 정책협약식에 앞서 페이스북을 통해 노동 공약을 내놨다. 핵심은 정년 연장과 노조법 2·3조 개정이다. 그는 "정년 연장을 사회적 합의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노조법 2·3조 개정안도 다시 밀어붙일 태세다. 이 후보는 "교섭권을 강화하고 무분별한 손해배상 청구와 가압류로 인한 고통을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플랫폼 시장을 옥죌 수 있는 공약도 내놨다. 이 후보는 "중개 수수료율 차별을 금지하고 수수료 상한제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정책협약식을 마친 이후에 택배기사·배달노동자 등 비(非)전형 노동자들을 직접 만났다.
[성승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