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4.29 13:41:08
강풍 시 헬기 활용 진화 어려워 무인기 통한 화재 진압도 한계 곡사포에 ‘소화탄’ 넣고 쏘면 여의도서 관악산까지도 대응
전국 각지에서 잇따른 산불로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산불을 효과적으로 진화할 ‘소화탄’을 개발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불이 난 지역에 작약 대신 소화제가 든 포탄, 일명 ‘소화탄’을 곡사 방식으로 발사함으로써 초기 대응력을 제고하자는 아이디어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인 김용태 의원은 지난 28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추가경정예산안 정책질의에서 ‘산불 진화용 소화탄 발사시스템’ 개발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먼저 “이번 산불에서, 앞으로 산불 대응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초강풍이라 생각한다”며 “초강풍 상황에서 적합한 산불 진화 방식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라고 질의했다.
정영준 행정안전부 기획조정실장은 “일반적으로 산불을 진화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장비는 헬기라고 알려져 있다”면서도 “강풍이 아주 셀 경우에는 헬기가 뜰 수 없는 상황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고정익 항공기같이 초강풍 시에도 공중 진화가 가능한 방안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다”고 한계를 제시했다.
김 의원은 또 “초속 20m 이상의 강풍이 불면 헬기 운용이 어렵다”며 지난달 경북 의성 산불 현장에서 진화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가 숨진 사고를 언급했다. 그러면서 “산림청에서 이미 2016년부터 소화탄 개발에 착수한 바가 있다”며 기술이 어느 정도까지 개발됐는지 물었다.
이에 임상섭 산림청장은 “2016년에 드론(무인기) 부착형 소화탄 개발에서 사용을 일부 했었다. 그런데 지금은 사용을 못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초강풍 상황에서는 무인기가 소화탄을 투하하더라도 한계가 있다”며 “곡사포 방식으로 소화탄을 발사해 고도 10m 상공에서 고농도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분말을 분사한다면 산불 초기 진화에 굉장히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예컨대 우리 군이 운용하는 105mm 한국형 차륜형 자주곡사포를 이용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소화탄을 쏠 경우 관악산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105mm 자주곡사포의 사거리는 11~18km에 이른다.
김 의원은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라며 안덕근 산업통상부장관에게 “국방부와 산림청까지 포함해 산불진화 특화산업으로 발전시키는 방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고 물었다.
안 장관은 이에 “좋은 생각이라고 본다”며 “관계 부처와 협의해 진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이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강풍이 불면 헬기 운용이 제한적이고, 이번 추경안에 포함된 산불 진화용 고중량 드론 운용도 어려울 수 있다”며 “이미 소화탄 개발과 비슷한 관계 부처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인 것이 있고, 부처별 통합을 통한 발사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