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입력 2025.07.02 16:06:29
2~3일 한-EU 에코디자인 포럼 개최 배터리·전기전자·섬유 제품에 적용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2일 한-유럽연합(EU) 그린파트너십 사업단과 공동으로‘한-EU 에코디자인 포럼’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에는 한국과 유럽의 정책 입안자, 현장 실무자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EU가 2027년 배터리를 시작으로 산업 제품에 도입하기로 한 ‘디지털 제품여권(DDP)’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DPP는 제품에 관한 모든 정보를 디지털 방식으로 기록해 설계부터 폐기, 재활용까지의 전 과정을 추적·공유하는 디지털 이력서이다.
EU는 지난해 7월, 주요 산업 제품에 단계적으로 디지털 제품 여권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에코디자인 규정(ESPR)을 제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EU에 수출하는 한국 제품에 DDP 부착이 의무화된다.
정부도 한국형 에코디자인 정책인‘자원효율등급제’를 추진 중이지만, EU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디지털화·표준화 등 보완해야 할 과제은 상황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EU집행위원회 환경총국이 에코디자인 규정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생기원이 국내 이행 계획과 대응 현황을 발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DPP 제도 설계자와 국내외 산업기술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관련 생태계 조성 및 산업계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행사는 3일까지 이어진다. 에코디자인 규정의 우선 적용 대상인 배터리, 전기전자, 섬유의 3개 분야를 중심으로 한 산업세션이 열린다.
각 세션마다 EU의 최신 규제 동향을 바탕으로 한국의 대응 현황과 주요 이슈를 짚고, 국내외 기업들의 기술 적용 사례를 통해 산업별 이행 전략과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상목 원장은 환영사에서 “에코디자인 규정과 디지털 제품 여권 제도를 설계한 EU와 함께 공동 대응 및 협력방안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포럼”이라며 “생기원은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에코디자인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우리 기업들이 디지털제품여권 의무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