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사퇴 후 2일 대선 출마를 선언할 계획이라고 한다.
한 권한대행의 출마 가능성은 4월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직후 거론되기 시작했다. 국민의힘으로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에 맞설 만한 후보가 없는 가운데 나온 궁여지책이다. 민주당은 경제부총리와 주미대사, 통상교섭본부장 등으로 행정경험이 풍부한 한 권한대행의 파괴력을 가늠하기 어렵다. 그러다보니 '내란 공범의 대권 놀음'식으로 출마의 정당성을 따지고 있다.
국민도 한 권한대행이 출마설에 대해 일체 함구해온 만큼 여러 의문을 갖기는 마찬가지다. 한 권한대행은 출마의 변을 통해 이러한 의문들에 명확히 답하는 게 도리일 것이다.
먼저 파면된 윤 전 대통령과의 공동책임론에 대한 입장부터 밝혀야 한다. 윤 전 정부에서 유일한 총리로 재직한 그는 탄핵으로 끝난 정권의 과오와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 물론 민주당이 내란 프레임을 씌워 공격하는 것은 과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탄핵을 당한 대통령을 모시던 총리가 대선에 출마한다면 국민이 납득할 만한 명분이 있어야 한다.
다음은 대선 관리 책임자가 직접 후보로 나서는 데 대한 공정성과 타당성 여부다. 특히 그가 사퇴하면 최상목 경제부총리 대행 체제가 또 등장해야 한다. '권한대행의 대행 체제' 반복은 산적한 현안 해결은 물론 국가 이미지에도 부정적이다. 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끝으로 한 권한대행은 본인만의 정책 대안과 비전을 내놓아야 한다. 당선 후 본인 임기와 개헌 방향, 국민통합 방안 등이 될 것이다. '반(反)이재명' 연대만으론 국민을 설득하기 어렵다. 한 권한대행은 안정적인 국정 운영과 경제통상 전문성, 국제 감각 등 강점도 많다. 이를 어떻게 정책화해서 결실을 낼 것인지가 '대선 후보 한덕수'의 차별화 포인트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그의 출마가 당리당략에 찌든 정치권에 충격과 변화의 계기가 되려면, 그 당위성을 뒷받침하는 명쾌한 논리가 있어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