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끝내기 6점’ 김준태, 김행직에 50:40 승
2009년 선수등록 후 15년만에 첫 정상
국내외 대회서 번번이 우승실패 ‘설움’ 떨쳐
金 “올해엔 3쿠션월드컵 정상에 서고싶다”
국내 4위이자 세계 10위.
정상권 선수임에도 유독 우승컵과 인연을 맺지못했던 김준태가 선수생활 15년만에 마침내 정상에 올랐다. 그것도 메이저 대회 타이틀이다.
김준태(29)가 ‘매탄고 3년선배’ 김행직(32)을 꺾고 아시아3쿠션 정상에 올랐다. 국내외 대회를 통틀어 공식대회 첫 우승이다. 아울러 한국은 아시아캐롬선수권 3쿠션 전 종목을 석권, ‘아시아3쿠션 맹주‘임을 다시한번 입증했다.

김준태(경북체육회)는 31일 밤 강원도 양구 청춘체육관에서 열린 ‘제12회 아시아캐롬선수권대회’ 마지막날 남자3쿠션 결승에서 김행직(3위, 전남)을 50:40(33이닝)으로 물리쳤다. 이로써 김준태는 국내외 주요 대회에서 번번이 공동3위~준우승에 그쳤던 아픔을 떨치고 첫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공동3위 강자인, 바오프엉빈
韓, 3쿠션 메달 12개 중 11개 석권
반면 김행직은 ‘국토정중앙배’ 3쿠션 복식과 개인전 우승에 이어 3관왕을 노렸으나 김준태에 막혀 2관왕에 만족해야 했다. 공동3위는 강자인(5위, 충남체육회)과 바오프엉빈(세계 8위, 베트남)이 차지했다.
한국은 전날 U-22(22세 이하) 박정우, 여자3쿠션 김하은과 함께 이번 대회 3쿠션 3종목을 모두 석권했다. 나머지 1개 종목인 1쿠션은 베트남 선수가 우승했다.
◆김준태 ‘끝내기 하이런6점’ 앞세워 김행직에 50:40 승…김행직 3관왕 무산
그 동안의 김준태와는 달랐다. 김준태는 그간 주요 대회에서 정상 일보 직전까지 갔다가 마지막 한 고비를 넘지 못하고 물러섰다.


결승전에서 두 선수는 초반 5이닝까지 10:10으로 팽팽히 맞섰다. 그러나 이후 김행직이 소강상태에 들어선 사이 김준태가 꾸준히 점수를 쌓아 17이닝 째 28:17, 11점차로게 앞섰다. 준결승전에서 바오프엉빈에게 43:49 매치포인트에서 50:49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둔 김행직이 쉽게 물러서지 않았다. 김행직은 18이닝 하이런6점을 시작으로 22이닝까지 14점을 보태 31:35로 격차를 좁혔다.
김준태가 24이닝 공격때 하이런6점으로 응수, 다시 달아났지만 이후 25~32이닝 동안 단 2득점에 그쳤다. 김행직이 또다시 추격하며 32이닝 째 두 선수 격차는 4점차(40:44)까지 좁혀졌다. 흐름상 김준태가 경기 내내 가져온 주도권을 막판에 내줄 분위기였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김행직도 폭발적인 장타 대신 단타에 그쳤다는 점이다.
김준태가 막판 뒷심을 발휘했다. 33이닝 째 ‘선공’ 김행직이 득점에 실패하자 공격권을 이어받은 김준태가 그대로 남은 6점을 몰아치며 아시아 챔피언에 등극했다.
◆2009년 중3때 선수 등록, 15년만의 첫 우승…주요 대회 정상 직전서 번번이 ‘눈물’
김준태는 중학교 3학년이던 지난 2009년 경북당구연맹 선수로 등록, 올해로 15년째다. 그간
전국 학생대회와 파이브앤식스 주최 ‘코리아당구그랑프리’ 정상에 오른 적 있다. 그러나 학생대회를 제외하고 대한당구연맹, 세캐롬연맹(UMB), 아시아캐롬연맹(ACBC) 주최 공식대회에선 우승한 적 없다.
국내 무대에선 매탄고 선후배인 김행직 조명우와 허정한이 항상 앞에 있었고, 국제무대에선 이들 외에도 야스퍼스, 브롬달, 멕스 등에게 막혔다.
김준태는 지난해만 해도 6차례 전국당구대회에서 우승-준우승은 고사하고 공동3위만 딱 한번(12월 천년의빛 영광전국당구대회) 했다.
3쿠션월드컵에서도 공동3위 2번(라스베가스, 호치민 대회)에 준우승 1번(샤름엘셰이크대회 결승에서 야스퍼스에게 패배)으로 끝내 정상에 오르지는 못했다.


하지만 세계톱랭커 6명(1위 조명우, 2위 트란퀴엣치옌, 8위 바오프엉빈, 10위 김준태, 12위 김행직, 14위 허정한)과 국내 정상급 선수(5위 강자인, 6위 조치연, 7위 안지훈, 8위 이범열, 9위 정예성, 10위 최완영, 11위 김진열, 12위 차명종)가 대거 참가한 이번 대회에서 시상대 맨 꼭대기에 섰다.
우승 후 김준태는 “직전 ‘국토정중앙배’에서 너무 못해(김준태는 국토정중앙배 64강에서 탈락했다) 걱정도 많이 했고, 자신감도 많이 떨어져 있었다. 그런데 오히려 기대를 내러놓고 경기에 임하다 보니 더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던 것 같다. 오랜만에 우승컵을 들어 기쁘고, 가족들과 후원사(타스)에게 감사말씀을 전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특히 그간 결정적인 순간마다 흔들려 우승을 놓친 적이 많은데, 최근엔 그런 부분을 다잡으려 노력을 많이 했다. 앞으로 더욱 보완해 올해엔 꼭 3쿠션월드컵 정상에 올라보고 싶다”고 덧붙였다.
◆韓, 3쿠션 메달 12개 중 11개 석권…베트남 1쿠션 우승~공동3위 휩쓸어 日 입상자 ‘제로’
이번 대회 3쿠션 시상대는 남자3쿠션 공동3위 한 자리(바오프엉빈)만을 제외하고 모두 한국 선수로만 채워졌다. 우승 메달 3개를 포함해 총 12개의 메달 중 11개 메달을 휩쓸었다.
한국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3쿠션 전종목을 석권하며 아시아3쿠션 최강국임을 재확인했다.


한국은 앞선 여자3쿠션에선 ‘국내 1위‘ 김하은이, U-22 3쿠션에선 박정우(경동고부설방통고)가 1위에 올랐다. 1쿠션에선 이정희(시흥시체육회)가 공동3위를 차지하며 한국 선수로는 유일하게 이 종목 시상대에 섰다.
베트남은 1쿠션에선 팜칸퍽 보푸옥탄 팜두이탄이 우승~공동3위를 휩쓸며 강세를 보였다.
일본은 이번 대회에 21명이 참가했으나 단 한 명도 입상권에 들지 못했고, 유일한 중국선수인 동후안첸(남자3쿠션)은 조별예선서 탈락하며 일찍 대회를 마감했다. [양구=김동우 MK빌리어드뉴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