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 월드IT쇼에 참여한 SK텔레콤의 부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닮은 화려한 외관이 호평을 받았다. [이가람 기자]](https://wimg.mk.co.kr/news/cms/202504/24/news-p.v1.20250424.bfb7ac3b760f4306b9acb1d8b09d0ae9_P1.jpg)
국내 최대 규모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 ‘2025 월드IT쇼’가 막을 올렸다. ‘인공지능(AI)으로 디지털 대전환, 과학기술로 미래 선도’를 주제로 첨단 기술의 장이 펼쳐졌다. SK텔레콤과 KT도 글로벌 AI 전쟁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한 AI 중심의 미래상을 선보였다.
2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월드IT쇼에서 SK텔레콤은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를 콘셉트로 부스를 꾸렸다. 데이터센터 서버실 모양의 부스에 AI 데이터센터, 그래픽처리장치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AI 엣지 처리 방식 등 첨단 기술을 담아냈다.
구체적으로 AI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분산된 전력원으로부터 수급하고 AI로 최적 제어하는 기술, 액침 냉각을 활용한 발열 관리 및 안정성 제고 기술, 효율 운영을 지원하는 페타서스 클라우드 등 에너지 솔루션을 소개했다. 기업소비자거래(B2C) 서비스로는 자체 개발 거대언어모델(LLM)인 에이닷엑스(A.X)와 AI 에이전트 에이닷(A.)을 내세웠다.
또 SK하이닉스의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와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 SKC의 유리기판, 리벨리온의 신경망처리장치(NPU) 등 반도체 제품도 전시됐다.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정밀한 이동이 가능한 자율주행기술을 적용한 AI 로봇과 이동형 폐쇄회로(CC)TV에 AI 모델을 결합해 관제 효율성을 높여주는 AI CCTV 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 월드IT쇼에 참여한 KT의 부스. 인공지능(AI) 한옥을 콘셉트로 한국적 아름다움을 담아냈다. [이가람 기자]](https://wimg.mk.co.kr/news/cms/202504/24/news-p.v1.20250424.43ffa6d2da9e485594c384ab917938ab_P1.jpg)
그 옆에 KT 전시관이 자리를 잡았다. KT는 ‘K-인텔리전스’를 통해 한국적 AI 기술을 강조했다. KT는 전통 한옥과 마당을 형상화한 부스를 설치했다. 새하얀 대문와 기와지붕 사이로 유채꽃이 관람객을 맞이했다.
KT 부스는 마이크로소프트(MS) 코파일럿·오픈AI 챗GPT 기반 커스텀 모델·팔란티어 프로젝트 청사진 등 파트너사와의 협업 결과물을 소개하는 어울림 마당, 관리형 프라이빗 클라우드·팀즈 폰(Teams Phone)·커뮤니즈 플랫폼 등 기업간거래(B2B) 제품을 모니터에 띄워놓은 기업 마당, KT가 개발 중인 미래 네트워크를 엿볼 수 있는 연구 마당, AI 자격증에 대해 알려 주는 배움 마당,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상생 마당 등으로 구성됐다.
이 밖에도 놀이 마당과 즐거움 마당에서 KT의 AI 기술 체험이 가능했다. 미로 속에서 미아 인형을 찾으며 5세대(5G) 이동통신 정밀측위기술인 엘사 솔루션이 적용되는 상황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AI 스타디움에서는 AI로 제작한 국가대표 축구선수 이강인이 메시지를 전달했고, AI 전광판에는 구역별 혼잡도와 실시간 자막이 떠올랐다. 관람객이 케이팝에 맞춰 AI 댄서와 춤을 출 수 있는 이벤트를 마련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가운데)이 2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월드IT쇼를 참관했다. [이가람 기자]](https://wimg.mk.co.kr/news/cms/202504/24/news-p.v1.20250424.1d9418893b5d409d90fb514268791174_P1.jpg)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이날 오후 12시 30분께 과기정통부 관계자들을 이끌고 월드IT쇼를 찾았다. 유 장관은 “ICT 연구개발 성과가 시장에서 빠르게 구현돼 경제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술사업화에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며 “더욱 진화한 ICT 기술과 제품을 통해 월드IT쇼가 글로벌 대표 ICT 전시회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월드IT쇼는 이날부터 오는 26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다. 약 2만4800㎡(7500평) 규모 전시장에 17개국 450개 기업과 기관이 참가한다. 삼성전자·LG전자·SK텔레콤·KT·현대자동차·삼성SDS 등 국내 주요 기업은 물론 퓨리오사AI·텔레칩스 등 유망 기업도 나섰다.
이날 개막과 동시에 진행된 우수기업 시상식에서는 삼성전자가 대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삼성전자는 대규모 생성형 AI를 온디바이스 환경에서 구동할 수 있는 가속기 및 신경망 모델 최적화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발했다. 이와 함께 3차원(3D) 모션 데이터 생성을 지원하는 생성형 AI 서비스를 개발한 네이션에이를 비롯해 6개 기업이 과기정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디지털 유망기업 및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수여하는 혁신상에는 생성형 AI와 증강현실(AR)을 결합한 독서 플랫폼을 개발한 아티젠스페이스 등 4개 기업이 과기정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