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23명·제주 20명·김해 16명 등에 비해 적어

새 떼 출몰이 잦은 전남 무안국제공항의 조류 충돌 예방 전담 인력이 총 4명으로,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전국 14개 지방공항 중 하위권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지난 29일 제주항공 2216편 사고가 발생했을 당시는 주간조와 야간조의 교대 시간으로 파악돼 사각지대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부는 사고 시점에 이들이 실제로 근무를 했는지, 비상시 매뉴얼을 준수했는지를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29일 한국공항공사가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무안공항의 조류 퇴치 전담 인원은 4명으로 파악된다. 김포공항 23명, 제주공항 20명, 김해공항은 16명의 조류 퇴치 전담 인력을 운용하는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인원이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운항하는 편수 별로 예방 인력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무안공항은 전국 14개 공항 중 조류 충돌 발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무안공항 조류 충돌 건수는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총 10건으로, 발생률은 0.09%로 추산된다. 발생 건수 자체는 14개 공항 중 9번째지만 이착륙 항공편 대비 발생률을 따지면 14개 공항 중 가장 높다. 김포(0.018%), 제주(0.013%) 등 타 공항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수준이다.
유경수 국토교통부 항공안전정책관은 제주항공 사고와 관련해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조류 충돌 예방인력이) 총 4명 근무하고 있었고, 1명이 야외 현장에 있었다”며 “1명씩 3교대로 야외 활동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유 정책관은 “구체적 활동 내역이나 시설 작동 여부는 확인해봐야 한다”고 전했다.
국토부는 항공기 블랙박스인 비행기록장치(FDR)와 음성기록장치(CVR), 항공일지 등을 수거해 사고 경위를 조사할 계획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